Using the web console to manage systems in rhel version 9
Install RHEL Server >> URL

포스팅 목차
RHEL 웹 콘솔이란
리눅스 시스템을 웹 브라우저를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시스템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컨테이너를 관리하거나,네트워크 설정을 조정하고,로그 파일을 검토하며,시스템 업데이트를 적용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RHEL 8버전 이후로는 기본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음.
- 설치가 안되어 있으신 분들은 아래 참고
# dnf install cockpit

cockpit.socket서비스를 활성화
cockpit 서비스 시작 및 방화벽 오픈
기본적인 포트는 9090을 사용합니다.

서비스 시작 및 방화벽 오픈 후 웹 콘솔 접속
localhost:9090 < – – – – localhost 부분에 서버 IP기입

일반 사용자로 로그인 시 root 권한이 없기 때문에 sudo 권한을 부여한 계정을 사용해야합니다. -> 일반사용자 sudo 권한 부여
보안상 root 로그인 해제는 비추천드립니다.
웹 콘솔에 접속 시 왼쪽 카테고리에 여러가지 기능이 있으며 터미널도 웹으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서브스크립션, 소프트웨어, 진단보고서 등 여러가지 기능을 GUI 환경에서 확인 및 장애조치가 가능합니다.

대표적으로 네트워킹, 터미널, SELinux, 진단 보고서 등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