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망에서 Linux Server에서 NAS를 마운트

NAS : 네트워크에 연결된 저장장치를 의미합니다. NAS는 데이터 저장, 공유 및 백업을 위해 설계된 전용 장치로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사용자와 장치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NFS : 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서로의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NFS는 주로 Unix/Linux 환경에서 사용되며,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마치 로컬 디스크에 접근하는 것처럼 원격 서버의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줍니다.
포스팅 목차
NFS Package Install
nfs-utils는 Linux에서 NFS(Network File System) 서버와 클라이언트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 nfs-utils 패키지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컴포넌트와 유틸리티가 포함 >
mount.nfs : NFS 공유를 로컬 시스템에 마운트하는 데 사용
umount.nfs : 마운트된 NFS 공유를 언마운트하는 데 사용
exportfs : 서버에서 공유할 파일 시스템을 관리
showmount : 원격 서버에서 공유되고 있는 디렉터리를 표시
rpc.nfsd : NFS 서버 데몬으로,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
rpc.mountd : 마운트 요청을 처리하는 데몬
$ sudo dnf install nfs-utils

Create NAS Mount Directory
$ sudo mkdir /name/name <--- 자유롭게 지정
/mnt/nas

NAS Setting
나스 설정에서 NFS를 활성화

공유폴더를 생성합니다. 단 이름과 설명 위치등은 자유이며 저는 아래와 같이 설정을 했습니다.

클라이언트 IP로 지정을 해주시면 됩니다.
권한은 각 시스템 환경에 맞춰서 지정합니다.

Mount NAS
아래 명령어를 통한 NAS Mount
$ sudo mount -t nfs IP:/Path/to /mnt/nas
/etc/fstab설정을 통해 지속적인 마운트가 가능합니다.
NAS를 /etc/fstab에 추가
IP:/path/to/nas /mnt/nas nfs defaults 0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