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주요 배포판(Ubuntu, RHEL, Arch) 패키지 관리자
Linux에서 패키지 관리는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데이트, 관리 및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각 리눅스 배포판은 이를 위해 고유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오늘은 주요 배포판 별 패키지 관리자 사용법을…
Talk is cheap. Show me the code.
Linux에서 패키지 관리는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데이트, 관리 및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각 리눅스 배포판은 이를 위해 고유의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오늘은 주요 배포판 별 패키지 관리자 사용법을…
EPEL 저장소에 대해서 알아보기 이전에 Repository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리포지토리(Repository)란 리포지토리는 말 그대로 보관소라는 뜻으로 컴퓨터 용어로는 데이터 베이스 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예를들어 제가 A 라는 폴더 안에 B…
SSH 인증키 생성 및 패스워드 없이 서버 접근하는 방법 인증키에 생성 및 서버 접근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간략하게 SSH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SSH(Secure Shell)는 원격 컴퓨터를 안전하게 제어하기 위한 네트워크…
How to use the crontab command crontab은 UNIX 기반 시스템에서 시간을 기반으로 작업을 스케줄링하는 도구 주기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작업(예: 백업, 로그 분석, 시스템 업데이트 등)을 스케줄링하는 데 사용됩니다. 장점 –…
ls 명령어는 리눅스와 유닉스 계열의 운영 체제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 중 하나로, 특정 디렉토리의 내용을 나열하는 데 사용됩니다. ls 명령어를 그냥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를 나열하며,…
dnf 는 Fedora, CentOS, RHEL 및 그 외의 RPM 기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도구입니다. yum 의 후속 버전으로 패키지 설치, 업데이트, 제거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제 부터 dnf…
Linux System 업데이트 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 간단하게 해결 Errors during downloading metadata for repository ‘baseos’: – Curl error (60): SSL peer certificate or SSH remote key was not…
SSH(Secure Shell)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원격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암호화된 프로토콜입니다. SSH는 원격으로 시스템에 접근하고, 명령을 실행하며,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며, 통신 중 공격자에게 정보가…
리눅스를 사용할려고 하면 기본적으로 명령어를 알아야 합니다. 처음부터 막상 공부하기에는 너무 많은 명령어 들과 옵션이 난무하기 때문에 오늘은 대표적은 명령어를 알아보고 해당 명령어의 잘 사용하는 옵션도 몇가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리눅스 명령어란?…
기존의 리눅스 서버의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분실 했다면 아래 간단한 과정을 통해서 쉽게 해결이 가능합니다. 분실 후 당황하지 말고 아래와 같은 단계로 천천히 따라하면서 해결해보세요. linux root 패스워드 분실 시…